목차
연차수당 계산방법 알아보기
유급휴가를 주는 대신 지급하는 연차수당은 최대 25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차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연차수당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연차수당은 직장인의 보너스와도 같지만 연차수당이 얼마인지 정확히 알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연차수당 계산방법을 알아보고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연차수당은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해서 자신의 연차수당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차 휴가일수 계산기
연차수당 계산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연차휴가 일수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연차휴가 일수를 모르시는 분들은 먼저 연차휴가일수 계산기를 이용해서 주어진 연차일수를 먼저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계산방법으로는 잔여연차일수에 통상임금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통상임금의 경우 시간급여에 1일의 근무시간을 곱하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통상임금이 얼마인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게 편리합니다. 연차수당 계산기에 연차휴가 미사용일 수와 근무시간 급여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통상임금이 계산되며 연차수당도 함께 계산됩니다.
연차는 근속기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근로형태와는 전혀 관계가 없기 때문에 비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경우에도 연차수당 지급기준을 충족하면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발생기준
연차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라면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즉, 1년 미만인 근로자가 1년 80% 미만 출근 했다면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합니다.
3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연수에 매 2년마다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줘야 합니다.
즉, 3년 차 15일에서 + 1일이 된 16일, 5년 차에서 17일 등 법적으로 의무가 정해져 있습니다. 가산일 포함한 총연차는 25개입니다.
연차가 있지만 개인 사정상, 혹은 회사의 사정상 사용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합니다. 주어진 연차를 전부 소진하지 못했다면 당연히 남은 일수만큼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하여 내가 받을 수 있는 연차수당은 얼마인지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연차수당 계산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MBTI 무료 검사하기 (쉽게 하기)
MBTI 무료 검사하기 요즘 인터넷에서 핫한 것 중 하나가 성격유형 검사 MBTI 무료 검사하기입니다. 여러분은 한 번쯤 MBIT 무료 검사하기 해보셨나요? MBTI 무료 검사하기는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나
bbusd.skslyt.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