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로소득 세율 및 소득 세율표 구간

by 행복송송 2024. 2. 28.

목차

    반응형

    근로소득세는 근로자가 근로를 통해 얻는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근로계약을 통해 일을 하고 급여를 받는 경우, 이에 대한 세금으로 근로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오늘은 근로소득세의 정의와 근로소득 세율 및 근로소득세 계산까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세란

     

     

    근로소득세는 직장에서 근로의 대가로 지급받는 소득에 대해서 부과 및 징수되는 세금으로 매월 급여를 받을 때마다 근로소득세라는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공제하는데 이를 원 천징수라고 합니다. 

     

     

    이렇게 공제된 금액을 바탕으로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이 결정됩니다. 부양가족의 수에 따라 적용되는 과세표준 구간과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지급되는 세액은 가족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로소득 세율 

     

     

     

    근로소득 세율은 소득액에 따라 8개 구간으로 분류됩니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근로소득세율도 높아지는데, 소득이 3억 원을 초과하면 기본세세율 40% 적용됩니다. 

     

     

    그러나 과세표준 구간은 대략적인 기본세율을 나타내며, 실제로는 부양가족수나 소득 상황에 따라 근로소득 세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세청 근로소득세율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근로소득세 계산 

     

     

    근로소득세를 계산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면,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근로소득세 자동 계산기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근로소득세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의 '조회 / 발급 ' 메뉴에서 '간이세액표'를 선택하고,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메뉴에서 급여액, 공제대상 가족수, 공제대상 가족 중 7세 이상 20세 미만 자녀수를 입력하면 근로소득세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근로소득세 계산 결과는 보통 회사에서 100% 기준으로 활용하는데 80% 기준이라면 연말정산에서 내야 할 세금이 많아지고 120% 기준이라면 연말정산 이후 환급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소득과 가족수에 따라 납부해야 하는 금액을 정해 놓은 표입니다. 각 급여액과 가족수에 따라서 세율과 납부액이 달라집니다. 

     

     

    공제대상 가족의 수가 증가할수록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도 증가합니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홈택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발급 메뉴에서 간이세액표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로 이동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위의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각자의 상황에 맞게 확인할 수 있는 간이세액표로 이동하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계산기

     

    연차수당 계산방법,계산기

    연차수당 계산방법 알아보기 유급휴가를 주는 대신 지급하는 연차수당은 최대 25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차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연차수당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연차수당

    bbusd.skslyt.com

     

    반응형

    댓글